EZ EZViwe

[기자수첩] 스마트폰 신경전, 웬만큼 하시죠

나원재 기자 기자  2010.11.08 10:00:0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국내 휴대폰 보급률이 100%를 넘어섰지만 이통3사들의 가입자 유치 과열 경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이는 올 3분기 이동통신사들의 실적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마케팅비용이 매출과 영업이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마케팅비용은 업계에서는 이미 양날의 칼로 인식되고 있다. 마케팅 비용을 줄이자니 가입자 유치 경쟁에서 뒤떨어질 걱정, 비용을 늘리자니 기업 실적이 악화될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쯤에서 업계에서는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철저하게 고객의 마인드로 올바른 마케팅비용 집행을 위한 의견을 제시할까 한다.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지난 5월 마케팅비용 가이드라인을 제시, 국내 이통사들의 유무선 마케팅비용 과열 양상을 적절히 제재할 방안을 발표했다.

방통위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은 이통사들의 마케팅 비용이 전체 매출의 22%가 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고객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이통사 마케팅 비용에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신문과 방송광고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 방통위에 따르면 신문과 방송광고가 마케팅비용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익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통위가 가이드라인으로 규정한 신문과 방송광고를 제외한 이통사들의 마케팅비용에는 대표적으로 대리점수수료와 보조금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룰에 따른 이통사들의 마케팅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는 스마트폰 과열 경쟁이 가장 큰 몫을 하고 있는 형국이다.

SK텔레콤의 경우, 당초 이번 3분기 6000억원대 영업이익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5 000억원대에 머물며, KT의 아이폰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세를 줄이는 데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KT도 올 3분기 감가상각비가 증가와 콘텐츠 비용 등 지급 수수료가 늘어나 수익성 개선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곤두박질하는 등 라인업 대응과 과도한 보조금 지급으로 수익성 악화가 이뤄졌다는 분석이 나돌고 있다.

이는 대리점 수수료와 보조금 지급 등 마케팅비용 증가가 일명 ‘공짜폰’의 남발과 스마트폰 고객유치에 쏠리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도 무리가 아니다.

앞서, 방통위가 제시한 마케팅비용 가이드라인에는 신문과 방송 등에 들어가는 홍보비용이 제외됐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는 현재 매체를 통해 이통사들이 부가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정보를 접하게 된다.

   
 
IT기기가 고가로 인식되고 있고, 때문에 보조금에 대해 무조건적인 반대는 할 수 없지만 과열경쟁이 아닌, 적정한 선에서 일부 마케팅 비용이 고객에게 다양한 혜택으로 다가간다면 고객의 마음도 움직일 거라는 생각이다.

어찌 보면 ‘조삼모사(朝三暮四)’로 비춰질 수 있겠지만, 고객 전체를 놓고 봤을 때는 ‘누이 좋고, 매부 좋다’는 얘기로 인식될 수 있다.

가입자 유치 경쟁도 좋지만 적정한 선에서 한 템포 늦추는 것도 보다 멀리 뛰기 위한 준비 단계라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