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지구온난화와 화석에너지 고갈 등에 대비하기 위한 대체에너지로서 태양광, 풍력, 바이오 등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비하기 위한 전문인력양성 체제가 시급히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 정부가 새로운 경제 사회 발전모델로 ‘녹색성장’을 제시한 것과 관련, 에너지재생, 환경보존 등의 녹색기술 분야의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요구되므로 이에 적절한 인력양성이 필수적이라는 것.
28일 광주 히딩크호텔 6층 샤롯데홀에서 가진 전남지역경제인협회 주최 ‘전라남도 신재생에너지산업 시장 인력수요 상세조사 및 인력양성계획 최종보고회’에서 정인서 한국산학협동연구원 연구실장은 보고발표를 통해 공학인증제 수료인력 확보, 실무형 설계인력과 특화된 연구개발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를 통해 정 실장은 “향후 5년간 녹색일자리가 전 산업의 평균적인 일자리 증가율(1.3%)보다 빠른 속도(6.0%)로 증가하여 2013년에는 녹색일자리 규모가 약 81만개(‘08년 대비 약 20만개 증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8일 오전 광주 히딩크호텔에서 전남지역경제인협회 주최로 열린 ‘전라남도 신재생에너지산업 시장 인력수요 상세조사 및 인력양성계획 최종보고회’에서 정인서 한국산학협동연구원 연구실장이 보고발표를 하고 있다. |
이 가운데 전남지역의 경우 향후 5년간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 사업규모를 볼 때 이 분야의 직접 고용인력효과는 2,400명, 연계기업에서의 간접 고용인력효과는 7,000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특히 전남지역에서는 태양광설비시스템 개발자, LED생산관리자, 그린카 설계 개발자, 생태도시 개발기획가, 농업환경컨설턴트, 정밀농업전문가, 탄소거래중개인 등이 유망 녹색직업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정 실장은 부존자원이나 SOC가 절대적으로 열악한 전남으로서 중간계층 노동인력이 필요하고, 현지 인력이 필요한 녹색산업을 유치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전문인력양성을 요구했다.
정실장은 이 같은 전문인력양성을 위해서 대학에서의 실무형 신재생에너지 관련 전문학과 도입, 전문기관에서의 전문 핵심인력 양성 및 산업체 실무인력 재교육. 지방자치단체의 담당부서 설치와 교육프로그램 관리 또는 대학 위탁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정 실장은 "신재생에너지는 정부가 현재의 전력분담율 4%대에서 2030년까지 11%대로 목표를 하고 있는 만큼 지역인재양성 및 활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인력풀 제도 도입을 통한 지역 인재의 적시 공급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고용노동부와 지자체, 대학, 공공훈련기관, 기업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력양성의 일관성을 통해 중복교육 방지나 역량향상 등 수요자(기업) 중심의 인력양성시스템 구축과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이 가능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