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개인정보에 대한 안전 불감증이 도를 넘은 것 같다. 휴대폰 번호나 주소 등 개인의 소중한 정보가 나뒹굴고, 금전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도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이같은 안전불감증은 소규모 웹사이트, 대형 쇼핑몰, 그룹 관계사, 공기업, 정부기관 등 그 어느 곳도 예외가 아니다. 소규모 웹사이트의 개인정보 관리는 허술하기 짝이 없고, 대형 유통업체나 공공기관에서는 잊을만 하면 한번씩 개인정보 대량 유출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L관광, E항공, J학원 등 알만한 기업들은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하다 무더기로 적발됐다. 또 국민의 지팡이를 자처하는 경찰은 수사업무와 관련이 없는데도 개인정보를 알려주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도 질병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등 안전불감증은 심각한 수준이다.
더 큰 문제는 정부의 개인정보 관리도 허점투성이라는 것이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공공기관의 허술한 보안체계가 연일 도마에 오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는 개인정보를 틀어 막을 수 있는 대책을 세우라는 것이다.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허술한 보안체계는 국내는 물론 외국 해커의 공략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외국 해커들은 지난 한 해 동안 29만4578번이나 중앙 행정기관 공략에 나선바 있다. 하루 평균 807건이다. 외국 해커의 잦은 공략은 국가기밀의 해외 유출이라는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안전불감증 문제를 강도높게 비판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문제는 또 있다. 강력한 개인정보보호책 마련이 늦어질 경우 자칫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관련 사이트가 개인정보를 빼내는 통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우려에 그칠 수도 있다. 하지만 코글이란 검색사이트가 등장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불안감은 커질수 밖에 없다. 일부 네티즌들에 의해 만들어진 신상정보 검색엔진인 코글이 단순 검색뿐만 아니라 네이버지식인ID, 블로그ID, 싸이월드 뒷주소 등 개인의 신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시대에 접어들수록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의 중요성은 커지게 된다. SNS가 확산되면 더욱 그렇다. 개인 ID와 같은 온라인 상의 개인정보가 철저히 관리해야 할 자산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CNN머니 인터넷판은 최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에 계정을 만드는 것이 공짜로 보이지만 이를 통해 생산된 정보가 여타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등 엄청난 자산이 될 수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감안하면 지금부터라도 개인정보 재무장에 나서야 한다. 특히 국정감사 때마다 지적되는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무단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가장 시급한 것은 노출이 쉬운 ID, 패스워드 방식의 개선이다. 인증서를 보안USB에 저장한 후 사용하도록 지침만 바꿔도 보안강화 효과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아울러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처벌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 개인도 마찬가지다. ID통일하지 않기, 알파벳과 숫자 조합한 ID 사용하기 등을 자신의 정보가 무방비로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잘 알다시피 공공기관 등에 대한 해킹은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공격에 대응할 공공기관의 전담조직이나 인력은 턱없이 모자라다. 지금부터라도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