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약품이 최근 비만 치료제 신제품 발매식을 개최하며 비만 치료제 시장 공략을 공개적으로 선언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국제약품은 푸로작(릴리)의 제네릭 제품인 국제 플루옥세틴과 아디펙스(광동)의 제네릭인 국제펜터민정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외에 보조약물인 국제토피라메이트, 뉴라인과 더불어 연간 70억원대 매출을 목표로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국제약품의 야심찬 계획과는 달리 시장에서의 반응은 냉담하다.
우선 국제약품이 출시한 비만치료제의 시장이 국제약품에 70억원의 매출을 안겨다 줄만큼 크지 않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두 제품의 전체 시장 규모를 합쳐도 100억원을 약간 상회하는데 7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잡은 것은 무리가 있다고 언급했다.
플루옥세틴은 전체 87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오리지널 푸로작이 24억원의 매출로 선두를 유지하고 명인제약의 푸록틴이 매출 15억원으로 그 뒤를 쫓고 있다.
팬터민은 전체 36억원의 시장에서 아디펙스가 전체 시장의 1/3의 매출을 점유하고 그 뒤를 이어 푸리민(드림파마), 디에타민(대웅) 등이 각각 9억원, 7억원의 매출을 기록중이다.
뿐만 아니라 국제약품의 비만치료제가 개량신약도 아닌 제네릭제품이라 치열한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제약계의 한 관계자는 “국제가 출시한 비만치료제는 제네릭의 일부일뿐 그 이상도 아니다”며 “현재 두 제품 시장에서 대형 국내사도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인데 차별화된 제품 없이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고 단언했다.
반면 국제약품 관계자는 “각각의 제품시장에서 비급여 시장을 포함한다면 전체 시장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되고 또한 보조약물의 시장도 무시 못해 시장 진출의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에 출시되는 제품은 시장 선점을 위한 프리마케팅의 일환이며 후속탄으로 준비중인 개량신약 및 보조약물까지 투입된다면 당초 목표가 헛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