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웰빙트랜드를 타고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올리브유 제품 다수에서 발암 물질이 검출되고, 성장기 어린이들이 섭취하는 영유아식에서도 중금속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한나라당 안명옥(安明玉) 의원이 각지역 검사청을 통해 조사한 시판 올리브유 제품 30개 중 9개 제품에서 강력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적게는 1㎏당 0.03㎍에서 많게는 3.17㎍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현재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에 대해서는 규제기준이 별도로 없고, 다만 식약청이 권고 기준으로 ㎏당 2㎍을 제시하고 있다.
이중에는 국내 유명 식품회사인 신동방(( 주) 사조 인수사)의 ‘해표튀김부침요리에 좋은 올리브유’ ( 표참조)에서는 ㎏당 3.17㎍의 벤조피렌이 검출돼 식약청 권고기준을 훨씬 넘어서며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와 관련, 식약청은 관련 제품 수거에 나서 현재 95% 가량을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안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06년 유해물질 선행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41종 1천296개 식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133개 제품에서 발암물질, 중금속, 식중독균 등 각종 유해 물질이 검출됐고, 이중 기준을 위반한 부적합 건수는 16건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젤리류 식품 60개 중 3개 제품에서 역시 발암물질인 싸이클라메이트가 23~771ppm이 검출돼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계란, 메추리알, 오리알 제품 61개 중에서는 10개에서 인체의 내성을 약화시킬 수 있어 검출돼서는 안되는 항생물질인 엔로플로삭신이 0.011~0.1ppm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유아식 19개 제품 중 6개에서는 중금속인 카드뮴이 0.014~0.05ppm이 검출됐다. 현재 국내에서는 카드뮴에 대한 별도의 규제기준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 국민들이 자주 섭취하는 대중식품에서 발암물질이나 중금속이 검출됐다는 점은 충격"이라며 "유해물질이 검출된 식품들 중 현재 유통 중인 식품을 즉각 회수하고, 아직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제품들에 대해서는 즉각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