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독자투고]고속도로, 과적차량으로 “몸살”

프라임경제 기자  2006.09.18 15:08:3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현대사회는 속도의 전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빠르고 신속한 것을 추구하며 이에 부응해 더 빠른 기차, 더 빠른 길이 계속해서 생겨납니다.

이런 속도 경쟁의 한가운데 있는 것이 고속도로입니다. 그런 고속도로가 요즘 과적차량과 운행제한 차량의 불법 운행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각종 불법 과적차량들이 자행하는 (바퀴)축 조작으로 인해 고속도로는 잦은 파손과 보수가 일상화 되고 이에 따라 교통 불편과 국민의 세금은 더욱 가중 되고 있습니다.

또한 적재 불량 차량은 차량 손상뿐 아니라 사망사고를 부르는 커다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도로법에 의해 엄중히 단속되고 있지만 일부 얌체 운전자들로 인해 상당수의 도로가 파손되고 있고 많은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45톤 차량이 중량을 초과해 운행하다 승용차와 충돌했다고 가정할 경우 그렇지않을 때보다 사망자 발생 비율이 4배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합니다.

또한 축 하중이(축 중량 기준 10톤) 1톤만 초과해도 승용차 11만대가 지나갔을 때와 같은 정도로 도로를 파손시키게 되며, 보수에 드는 비용도 평상시보다 2.5배 가량 더 들어갑니다.

이를 고속도로 뿐만 아니라 국도나 지방도로 피해까지 합산하면 연간 2조7000억원이 증가하게 됩니다. 쓰지 않아도 될 세금을 낭비하는 셈입니다.

특히 운행제한차량이 교량을 통과했을 경우 그 피해는 더욱 심각해집니다. 예를 들어 40톤 화물차가 50톤을 싣고 교량을 지나갔을 경우 교량 수명이 36개월 단축됩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전국적으로 약 10조원에 달하는 금액이 낭비되며 이 돈은 한강다리 50여개를 더 놓을 수 있는 막대한 금액입니다. 역시 국민의 세부담이 가중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됨은 물론입니다.

이런 위법을 근절하기 위해 도로공사는 철저한 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불법 운행을 뿌리뽑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운전자들의 의식 전환이 필수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단속은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아닌 우리가 우선인, 하나를 보는 것이 아닌 전체를 보는 자세를 가질때 우리의 고속도로는 속도의 전쟁에 다시금 선두로 나아 갈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도로공사 안영영업소 신민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