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T는 국내 대표적인 멀티플렉스 극장 사업자인 롯데시네마, 씨너스, MMC와
디지털시네마 사업을 위한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하고, 상호 협력해 디지털시네마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번 제휴를 통해 KT는 디지털시네마 관련 시스템 및 기술을 제공하고, 롯데시네마, 씨너스, MMC는 KT의
디지털시네마 시스템을 통해 최첨단 화질과 음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KT는 연내에 이들 제휴극장 100여 개
스크린에 디지털시네마 장비를 구축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과 함께 테스트와 시범서비스를 진행하고, 2007년까지 500여 개의 스크린을 디지털시네마
시스템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전국 스크린 1600개의 약 30% 규모다.
본격적인 디지털시네마 시장이 열림에 따라
영화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 된다. 관객들은 디지털영사기를 통해 고품질의 영화를 즐길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스타워즈 에피소드’시리즈와 같이 디지털로 만들어진 영화도 영사하기 위해 아날로그로 변환해야 했으나, 이제 디지털상태로 전송해
바로 영사함으로써 품질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내·외 영화 배급사들 또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현재의
아날로그 필름 배급방식보다는 네트워크를 통한 배급을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아날로그필름 복제는 스크린 당 200~300만원 정도로 소요된다. 600여 개의 스크린에서 동시상영한 영화 “괴물”을 기준으로 볼 때
12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셈이다.
디지털배급방식의 확산은 향후 영화제작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영화제작사들 역시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번거로운 아날로그 필름 제작방식에서 탈피해 처음부터 디지털제작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으로 KT는
전망했다.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를 연출해 세계적인 감독으로 우뚝 선 박찬욱 감독의 신작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역시 디지털 카메라로 제작됐으며, 디지털 배급을 기획 단계에서부터 고려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제작에 의한 영상 콘텐츠는 하나의 디지털 소스를 다양한 매체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으로도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KT 솔루션사업본부 채종진 상무는 “디지털시네마사업은 KT가 보유한 네트워크, 솔루션
분야의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의 사업을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든 사례” 라며 “KT는 영화를 소비하는 관객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화산업 전반에 걸친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