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BEA시스템즈코리아는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기업용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 통신 및 SOA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BEA 코리아 R&D(연구 개발) 센터’를 설립한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BEA는 국내 R&D센터 설립 원년에만 약 30여명의 연구진을 배치할 계획이다.
BEA는 지난 7월에 호주에서 열린 ‘BEA APAC 애널리스트 / 저널리스트 서밋 2006’에서 이미 한국 내 R&D센터를 포함한 대규모 투자 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김형래 지사장이 R&D센터 유치를 위해 알프레드 추앙 회장을 직접 만나 필요성을 전달하여, 국내 R&D센터의 설립이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이번에 설립될 ‘BEA코리아 R&D센터’는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기업용 솔루션 개발 ▲국내 통신 벤더들과의 협력 강화를 통한 기술 개발 및 통신 시장 확대 ▲선도적인 기술 개발로 국내 SOA 시장 리더로서의 입지 강화 ▲국내 고객들에게 원천 기술 기반의 신속한 서비스 제공 ▲산학연 협력 증진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초기에 전문 연구 인력 30명 내외로 서울에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BEA 코리아 R&D센터’는 BEA가 전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연구 개발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전세계의 R&D센터와 중국 TTC(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Center), 그리고 한국 지사의 세일즈 조직 및 파트너 사들을 연결하는 ‘에코 시스템(eco-System)’을 구축하여 유기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BEA시스템즈코리아의 김형래 사장은 “이번 국내 R&D센터 설립은 장기적으로 SOA와 통신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개발 및 국내 업체들과의 협력 및 공동 해외 시장 활로 개척 등의 국내 솔루션 시장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번 R&D센터의 설립을 계기로, BEA는 끊임없는 기술 혁신 노력과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산업 표준 기반 엔드-투-엔드(end-to-end) 인프라스트럭처 벤더로 자리매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BEA시스템즈의 웨이 웡(Wai Wong) 제품 총괄 수석 부사장은 “한국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통신 기술의 강국이며, 향후 NGN(차세대 네트워크) 및 IP 애플리케이션 분야가 시장 성장의 핵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특히 국내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SOA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한국에서 SOA 시장의 잠재력은 충분해 현지화된 SOA 기술을 개발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SOA 확산에 앞장서 국내에서 대표적인 SOA 벤더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다”라고 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