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발전노조 파업 강행

김훈기 기자 기자  2006.09.04 15:31:0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4일 새벽 1시30분 파업에 돌입한 발전산업노조와 정부·사측의 대립골이 깊어만 가고 있다.

정부와 사측은 중앙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 회부 결정에도 파업을 한 것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공권력을 투입해 닷새 안에 강제 해산시키겠다는 등 강력한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또 파업을 주도한 노조 지도부에 대해 사측이 고소·고발을 할 경우 체포영장을 발부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면 노조는 “산자부와 발전사장단이 노조의 모든 요구안을 무시하고 협상을 파국으로 만들어 노조의 파업을 유도했다”며 공권력이 투입되도 산개투쟁을 벌이는 등 맞대응을 하겠다는 의지다. 

이날 산자부와 5개 발전회사는 대체인력 3500여명을 투입하고 노조의 점거농성에 대비해 한전 본사와 발전소 중앙제어실 등 주요 시설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이어 발전회사 사장단은 4일 오후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강행은 중노위 결정에 반하는 명백한 불법파업이라며, 발전회사 통합 등 노조의 요구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발전노조 조합원 2200여명은 현재 서울 고려대 인근 공원에 모여 농성 중이다.

전력산업 구조개편 중단과 발전회사 통합을 요구하고 있는 발전노조는 성명을 통해 “산자부가 발전소 매각정책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발전소가 미국이나 국내 재벌에게 넘어가게 되면 수많은 저소득·극빈층은 전기라는 기본적인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동당은 4일 오후 성명을 통해 “전력산업을 민영화한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전기요금 인상과 대규모 정전사태 발생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며, “발전노조의 파업은 국민을 위한 사회공공성 강화와 발전산업 발전을 위한 정당한 투쟁”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발전노조 파업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4일 오후 한명숙 총리 주재로 대책회의를 열기로 했으며, 이 자리에서 조합원들에게 자진 복귀를 종용하는 한편, 법과 원칙에 입각한 강경대응 방침을 재확인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세균 산자부 장관은 1일 해외유전 개발을 위해 카자흐스탄으로 출국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