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울대병원, '장기입원환자 퇴원' 내홍 심화

노조 "돈 안되는 환자 내쫓기" vs 병원 "위급환자 위한 조치"

박대진기자 기자  2006.08.30 06:37:05

기사프린트

환자 적체현상에 고민하던 서울대병원이 3차 의료기관의 기능 강화를 천명하며 도입한 '장기입원 환자 관리제도'가 윤리성 문제에 부딪치며 내부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3차 의료기관의 진료가 필요없는 요양성 환자들의 장기입원에 따라 위급한 환자들이 치료기회를 잃고 있다고 판단, 지난해 12월부터 '장기입원 환자 관리제도'를 시행했다.

이 제도는 더 이상의 입원이 무의미한 장기입원 환자들의 퇴원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은 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35개 병동에 매월 30만원씩을 지원했다.

즉 의사와 간호사가 장기입원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퇴원 여부를 결정, 위급한 상황의 환자들에게 입원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병동에 일정 금액을 지원해 준 것.

하지만 이 제도가 도입된 이후 내부적으로 '국립대병원으로서의 윤리성을 상실한 것'이란 비난이 끊이질 않고 있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병원이 도덕성을 망각한채 돈 안되는 장기입원 환자를 강제로 퇴원시키고 돈 벌이가 되는 신규 환자만을 받으려 한다"고 비난했다.

더욱이 노조는 관리비 명목으로 35개 병동에 지급되는 30만원의 비용 출처가 선택진료비라는 점에 분개하고 있다.

노조는 "선택진료를 통해 이중 착취한 환자 돈으로 장기입원 환자를 내쫓는 격려금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돈은 수간호사 재량으로 음료수나 회식, 혹은 상품권으로 둔갑해 사용되고 있다"며 "결국 직원들은 영문도 모른채 병원과 함께 장기입원 환자 내쫓는 공범이 되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병원 측은 "노조가 너무 왜곡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병원 관계자는 "일부 장기입원 환자들 때문에 촉각을 다투는 암 환자 등이 병실을 얻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며 "이들에게 진료의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였다"고 제도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즉, 서울대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도 소용없는 장기입원 환자들을 2차 의료기관이나 요양기관으로 이원시켜 이들이 비운 병상에 위급한 상황의 환자들을 입원시키려 했다는 것.

실제로 이 제도 도입 후 500~1000일 이상 입원 중이던 환자 10명이 퇴원,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병원은 전했다.

장기입원 환자 퇴원에 따른 격려금 지급과 관련해서는 "의사와 간호사들 간의 원활한 환자 정보교류를 위해 제공하는 병동 회의비"라고 해명했다.

병원 관계자는 "장기입원 환자를 많이 퇴원시키면 지급하는 격려금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들이 모여 입원 의미가 없는 환자들에 대한 회의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병원은 오는 11월까지 운영키로 했던 '장기입원 환자 관리제도'가 논란이 되자 지속적인 시행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제공 : 데일리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