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브라질 전력시스템 운영부(ONS)가 집계한 내용에 따르면 브라질 전력업체들이 차후 전력난을 피하기 위해서는 오는 2007년에서 2009년 사이 최소 138억 헤알(5조7000억원)의 설비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브라질 전력시스템 운영부는 이에 대비해 지난 6월에 차기 3년 간 브라질 전력 기초망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PAR)을 시작했다.
PAR 프로그램을 통해 브라질 정부는 전력부족난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공급망을 확대하는 한편, 기존 전력망의 오류들을 수정해 전력공급 저해를 초래하는 원인들을 제거하거나 각종 대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난 2002년에 브라질 10개 주에서 전력 부족사태가 발생했던 주원인은 전력망 보호 시스템의 오류 때문이었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07년에서 2009년 사이 ONS는 1만 2400km에 달하는 전선을 증설하고, 브라질 전국 전력공급업체들을 위해 176개의 변압기들을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76억 헤알의 예산은 전선 증설에, 나머지 62억 헤알은 변압기 구입 및 설치에 투입될 예정이다.
일부 발전소들의 경우 변압기가 마련되지 않으면 발전소 가동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브라질 남부 지역에 위치한 바하 그란지와 깜뽀스 노보 발전소 등은 보조 발전소가 가동을 중단할 경우 충분한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만일 이 지역에서 전력 시스템의 병목현상이 해소될 경우 총 1500 MW에 달하는 전력을 추가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브라질 각 주의 대도시들 중에서 9개 도시가 전력송신 시스템에 문제를 보이고 있다.
그 중에 대표적인 문제는 N-1이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전력 공급이 한 개의 전선에 의존하고 있어, 만약 이에 문제가 생길 경우 전기 공급이 완전 차단되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한편, 브라질 산업체에 대한 전기 에너지 공급 가격은 룰라 정부 시기에만 108.9%나 인상되었다.
지난 2002년 12월까지만 해도 브라질 산업체들은 1MW/h당 95.77헤알(4만원)을 지불했지만 현재는 200.03헤알(8만 2000원)로 인상되었다. 이 가격에는 주정부의 상품용역 유통세(ICMS), 연방정부의 PIS/Cofins를 비롯한 각종 세금들은 부가되지 않았었다.
이에 관해 관련자들은 정부의 각종 세금이 부가되면서 전기요금이 35% 이상 인상됐다고 주장했다.
브라질 산업체들에 대한 전기 에너지 가격 인상이 더욱 두드러진 원인에는 브라질 정부의 보조금이 축소됐기 때문이다. 브라질 정부는 보조금을 통해서 일반 소비자들이 산업체보다 더 비싼 가격으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게 했지만 현재는 별반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산업체에 저렴한 가격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했던 이유는 산업체들이 주요 대형 전력 소비자들이고 또 고압으로 전력을 전송해 전송비용이 저렴했다는 장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사제공 남미로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