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달 말 분양에 들어가는 판교신도시 택지개발지구 인근에 상가조합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현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궁내동과 백현동을 중심으로 성남·용인 등에 사무실을 낸 상가 조합수는 10곳 정도로 몇 달 새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났다고 한다.
특히 조합마다 조합원 모집에 열을 올리며, 현수막을 거는가 하면 지역 TV광고 까지 나서는 등 홍보전이 과열양상을 띠고 있다고 한다.
![]() |
||
판교사업시행사인 한국토지공사가 올해 안에 이주자 택지와 생활대책용 상가를 특별 공급할 예정인데, 이때 각 조합원에 추첨 확정자가 많을수록 상가개발이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C상가조합관계자는 “6~8평의 지분을 가진 조합원 30명만 모여도 상가개발이 가능해 앞으로 조합 수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G상가조합관계자도 “영농인·화훼농·기존 상가 영업자 등 입장을 달리하는 관계자들이 각각의 조합 설립에 나서다보니 자연히 조합수도 많아졌다”고 밝혔다.
그는 “조합원에 일반 투자자가 가입할 자격은 없으며, 현재 대상자중 20%만이 가입을 했고 나머지는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며 “판교의 경우 3년의 개발기간과 상권형성의 기간까지 감안한다면 만만치 않은 시간이 투자돼야해 조합의 성격을 조합원(원주민) 생존권보장 차원에서 이끄는 단체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상가뉴스레이다 박대원 연구위원은 “분당 신도시 개발 당시만 하더라도 100여개의 조합이 있었다. 판교의 경우도 대상자가 많다보니 부동산 전문업자나 상가개발업체 등이 현지 대상자들을 모아 추가적으로 조합을 설립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조합을 선택하든 가입자 본인의 결정에 달렸지만, 조합이 지나친 공약과 사업계획을 제시해서 가입자들을 현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