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브라질 재무부와 민정수석은 합동으로 브라질 내 모든 반도체 제조업체들에 대한 소득세를 전액 면제해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외에도 반도체뿐만 아니라 하이테크 부문에 관련된 모든 생산업체들에게 징수되는 근로자복지기금(PIS), 사회보장융자기금(Cofins), 공산세(IPI)등의 세액이 대폭 축소될 예정이다.
이에 관해 기도 만떼가(Guido Mantega) 재무부 장관은 오는 주말까지 구체적인 세금 면제안에 대한 내용이 완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특정 하이테크 상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세금을 면제하는 사례는 외국에서도 매우 빈번하며 이를 연구하고 응용하기 위해서 상공개발부 산하 연구원들은 매우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 세금 면제안이 통과될 경우 하이테크 관련 외국기업들도 대거 현지에 진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향후 10년간 세금 면제 정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며 디지털 전자제품들이 늘어나는 현 추세에서 반도체의 수입이 증가할 것을 염려해 외국 기업들의 현지공장 운영을 유도할 방침이다.
하지만 아직 소득세에 대한 면제 사안은 검토단계에 있으며 이에 대해 재무부는 국가예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가를 일단 파악한 후에 구체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공개발부는 정부예산에 당분간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나 장기간적인 안목으로 분석해 볼 때 국가 경제에 큰 도움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2차적으로 내년을 기해 세계적으로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이스라엘, 코스타리카, 아일랜드, 미국등과의 기술제휴를
통해 대규모 반도체 생산공단을 조성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고급인력 발굴도 같이 병행할 것임을 시사했다.
[제휴언론 남미로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