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건설 산업 물량 정체와 기업 규모별·지역별 양극화 해소를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백성준 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부연구위원은 “1997년과 2005년을 비교한 결과 건설 규모는 그대로인데 업체 수는 급증해 경쟁이 치열해 지고, 기업 규모별·수도권과 지방간의 양극화가 심화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기업 규모별 수주 비중 또한 1~30위권 업체의 비중이 35.5%에서 41.6%로 높아지면서 대형 및 초대형 업체의 수주 집중도가 심화되고 있다”며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상호 건산연 건설정책연구실장은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중 하나는 건설공사 물량의 정체 내지 축소에 있기 때문에 적정한 SOC예산 확보를 통해 건설투자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사발주 및 입낙찰방식별 물량배분의 적정화를 유도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공동도급 장려, 중소건설업체 보호육성제도의 실효성 확보, 무자격 부실건설업체 퇴출과 중소 건설업체의 신 시장 개척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오는 5일 오후 2시 건설회관에서는 건설 산업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한 ‘건설 산업 양극화 진단과 동반성장 방안 세미나’가 열린다.
대한건설협회(건협)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주최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백성준 건산연 부연구위원이 ‘건설산업의 양극화 실태 및 원인 진단’을, 이상호 건산연 건설정책연구실 실장이 ‘건설산업의 양극화 해소 및 동반성장 방안’에 대해 주제발표를 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들어 심회되고 있는 건설 산업의 양극화 현상과 원인을 진단하고 대·중·소 업체간 동반성장을 통한 건설 산업 구조의 건전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