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LG텔레콤이 SK텔레콤과의 800MHz 주파수 로밍을 위한 ‘구애작전’을 본격화한다. LG텔레콤은 주파수 로밍에 따른 비용은 KTF에 지급되고 있는 그대로 SK텔레콤에 제시하겠다는 계획이어서 그동안 무임승차라는 입장을 고수해 온 SK텔레콤 측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LG텔레콤은 SK텔레콤과의 주파수 로밍이 이뤄지면 오는 11월 해외 자동로밍 서비스를 위해 800Mhz와 기존 1.8MHz를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 단말기를 출시할 계획이다.
LG텔레콤은 SK텔레콤이 독점하고 있는 800MHz 주파수의 경우 서울 등 인구 밀집 지역(84개 시)을 제외한 외곽 지역에서의 사용률이 6~22%정도에 불과, 주파수의 운용 효율성이 지극히 낮은 상황이지만, SK텔레콤은 배타적 권리와 기득권 보호만을 주장하며 외곽지역 800MHz 로밍에 대해선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LG텔레콤은 800MHz 로밍이 이뤄지면 SK텔레콤도 로밍에 따른 추가 수수료 수입 및 전파사용료 감면등의 부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효율적 주파수 사용에 따른 이용자 편익 증진, 후발 사업자의 통화 커버리지 확대, 막대한 투자비 낭비 방지 등 정부, 이동통신사업자, 이동통신 가입자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LG텔레콤은 현재 전국망에 대한 중복투자를 없앤다는 취지로 KTF와의 협력을 통해 전국적으로 900여개 기지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SK텔레콤이 800MHz 로밍에 대한 입장이 계속 부정적으로 진행될 경우 정보통신부에 로밍을 위한 중재요청도 계획하고 있다는 게 LG텔레콤의 계획이다.
LG텔레콤 남용 사장은 “800MHz 로밍을 위해 SK텔레콤과 최선을 다해 협의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 많은 부문에서 SK텔레콤과 협력한 바 있어 최대한 협조를 구하기 위한 구애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텔레콤은 창립 10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 중점사업 방안으로 ▲소비자 후생 증대를 위한 800MHz 주파수 로밍 ▲생활 가치 혁신 서비스 선도 ▲고객 만족 판매를 통한 판매 문화 혁신을 제시했다.
올해 말까지 LG텔레콤은 가입자 69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12월에는 HSDPA와 와이브로 같은 ‘Rev-A’기술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