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특히, 대기업 경영진의 높은 도덕성은 사회적 요구이기 이전에 기업생존의 필수조건임을 이제 모든 기업에서 핵심적인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이라는 거대 권력은 언제나 양면성을 가진 존재로 ‘조속한 해결’이라는 해답을 제시한 후 ‘법률적 검토’라는 과정은 늘 공식처럼 따라다니고 있다.
결국, 피해는 관련 시민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기업은 문제 해결에 미온적인 경우가 현실이다.
이와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것이 지난 해 발생한 ‘GS칼텍스 세창주유소 기름유출 사건’이다.
KBS 및 각 일간지를 통해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이 사건은 작년 4월 이후 현재까지 GS측의 명확한 피해 복구 없이 사건의 축소․은폐 의혹까지 받고 있어 현재까지 지역 주민의 원성을 사고 있다.
특히 (주)비엔코(대표 김송호)는 사고 지점에서 50~60cm의 간격을 두고 약 2,500평 규모의 근린 편의 시설을 건축 중이어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사실 GS칼텍스 직영인 세창주유소는 1969년 6월 이후 현재까지 영업하고 있었으며, 사건 발생 전부터 노후 시설에 대한 주변의 우려가 끊이지 않은 상태였다.
작년 4월 기름유출이 발생되자 지역 주민들은 GS칼텍스에 이 사실을 통보 했지만 GS측은 2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자체 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기름 유출 사실 없음’을 주장하면서 관련 문서를 공개하지 않자 사건은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이르렀다.
![]() |
||
하지만 GS측은 이를 무시하고 정밀조사 명령 불이행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받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GS칼텍스 측은 지난 해 12월 성북구청으로부터 받은 세창주유소 ‘오염토양 정화조치 명령’에 따라 기름탱크 제거 시 비엔코측과 환경운동연합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기름 유출 원인을 규명하기로 합의한 바 있었다.
하지만 GS칼텍스 측은 올 3월 단독으로 탱크를 제거하고 메워 버림으로써 증거인멸의 의혹까지 불러 일으켰다.
이후 ‘GS칼텍스 기름유출 피해복구대책 위원회’가 발족했지만 사이버 공간에서도 GS측의 ‘막강파워’에 시민들은 절망할 수 밖에 없었다.
GS와 관련된 소위 ‘안티 사이트 도메인 선점’은 GS그룹 출범부터 진행됐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시민들은 사이버 공간마저 ‘원천봉쇄’ 당해 기름 유출 피해 사실 알리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와 함께 대책위원회 측은 GS칼텍스의 환경오염을 알리기 위해 일간지 광고를 의뢰했지만 대기업의 우월적 광고주의 지위로 인해 번번이 실패했다고 전했다.
이후 몇몇 언론이 이 사실을 대대적으로 보도하자 GS측의 사고 이후 방치 또는 부인 하던 태도에서 수습의 태도로 전환했다.
하지만 그 방법이 문제라는 것이 피해자 측의 설명이다.
사고 피해지역 주민들과의 대화와 협의를 통한 문제 해결 보다는 환경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시간 끌기로 피해지역에 대한 경제적 보상 최소화한다는 의혹까지 사고 있다.
또한 GS칼텍스는 지하 8m 토목공사가 완료된 인접 부지 피해 건축공사 현장의 토압균형붕괴에 의한 2차 피해 발생이 있다는 주위 경고가 제기 됐지만 세창주유소 자체 부지 굴착공사만 강행, 향후 기름 유출 사건 보다 더 큰 대형사고까지 우려되고 있다는 지적까지 무시하고 있다.
현재 피해지역 주민들은 지난 1년여 동안 GS측의 피해지역 일대에 대한 복원과 경제적인 보상을 원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방관한 것 대해 지속적인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GS칼텍스은 “이번 사건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 법적 절차를 통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친환경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 전해 여운을 남겼다.
※ 본지 기획탐사부는 이번 사건을 중심으로 시민단체의 협조를 받아 GS칼텍스의 기업 윤리의식 부재, 환경관련 사건 은폐 의혹 및 사례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취재가 이루어 질 예정입니다. 독자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협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