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미FTA협상이 제약업계에 불확실한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독자적인 기술력을 가진 상위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은 강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대증권 조윤정 애널리스트는 "최근 한달간 제약업종지수는 16%하락해 시장대비 11% 초과하락률을 나타냈다"며 "제약업종의 적정주가를 하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동아제약은 6만7000원, 유한양행은 16만5000원, 한미약품은 15만5000원, 중외제약은 4만8000원, 대웅제약은 4만8000원, 동화약품은 3만2000원으로 하향조정했다.
조윤정 애널리스트는 "최근 제약주 주가하락은 한미FTA로 인한 제약주의 불확실성을 어느정도 반영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는 한미FTA체결이후 경쟁력을 가지고 살아남을 수 있는 업체를 선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미FTA협상으로 오리지널 제품의 영향력이 강화될 전망"이라며 "신약개발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물론, 오리지널 제품비중이 높은 업체가 유리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과 FTA협상을 체결한 14개국의 제약산업 협상 결과가 대부분 지적재산권 보호규정 강화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도 신약보호규정 강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윤정 애널리스트는 "이로 인해 신약개발력과 오리지널제품 비중이 높은 동아제약과 유한양행이 유리한 입지에 놓일 것"이라며 "한미약품은 높은 기술력으로 FTA규제를 극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