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이 본 계약 체결 이후 외환은행 통합 과정에서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합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일각에선 인수작업이 여전히 진행중인 상태에서 이같은 얘기를 한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의 합의는 통상적인 명예퇴직 등을 제외하고는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은 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국민은행 측은 이미 외환은행과의 통합을 기정사실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같은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이다.
25일 리처드 웨커 외환은행장은 사내 방송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국민은행과 외환은행간 통합 관련 합의서를 24일 작성했다고 밝혔다.
웨커 행장은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은 구조조정을 단행해야만 하는 잉여인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통합은행은 정규직 및 계약직원을 포함한 모든 직원에 대해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국민은행 강정원 행장도 수차례 국민은행과 외환은행 통합 후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금융권 전문가들은 “이 같은 국민은행과 외환은행 간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는 합의는 통합 전 이미 다른 기업들도 이와 같은 약속을 내 건바 있으며 제대로 지켜질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이는 M&A를 통해 합병한 기업들의 전례를 살펴보면 통합 전 거의 대부분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대한 약속을 내걸고 직원들의 동요를 사전 차단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유통업계에서 까르푸와 이랜드, 신세계와 월마트를 비롯해 금융권에서는 조흥은행과 신한은행이 인수합병 과정을 통해 통합을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바 있다. 합병 과정에서 항상 따라 다니는 ‘단골 메뉴’가 바로 고용보장과 인위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외환은행 노조는 이 같은 국민은행 노사 간 합의와 웨커 행장의 사내 방송을 통한 입장발표에 대해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이 마치 인수합병 과정을 다 마치고 고용 문제에 대해 논의 하고 있는 것 같은 분위기”라며 “아직 검찰 수사를 비롯해 공정위의 심사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금융권을 비롯한 일부 언론에서 게임이 이미 끝난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또 노조는 “지금 단계에서 고용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이 계약도 하기 전에 가구를 먼저 고르고 다니는 것과 비슷한 일”이라며 “론스타의 불법행위와 함께 국민은행의 인수자격 문제가 깨끗하게 정리되지 않는 한 고용문제 거론은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