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심하게 땀을 흘리는 다한증(多汗症) 환자의 10중 6명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촌세브란스병원이 다한증클리닉을 찾은 10대부터 40대 100명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한증 환자 60%가 부모나 가까운 친지가 다한증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가족이 다한증이면 자녀가 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한증 환자 10명중 9명은 사회생활과 학업에 지장을 받아 조사대상자 51%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꺼린다고 응답했으며 40%는 불편함을 느낀다고 답했다.
특히 50%의 응답자가 심리적으로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가장 많은 땀을 흘린다고 답해 긴장된 상황을 자주 접하게 되는 시기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땀을 흘리는 것은 이성교제에서도 걸림돌로 작용해 52%의 응답자는 이성친구가 다한증이 있다면 사귈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땀이 가장 많이 나는 부위는 손이 28%로 가장 많았으며 발이 19%, 겨드랑이가 18%, 머리가 16% 순이었다.
신촌세브란스병원은 "다한증 환자의 대다수가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악수나 키보드 사용, 필기 등에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어 직장생활과 학업에 방해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 생활 속 다한증 체크 리스트
- 겨드랑이에 땀냄새가 심하다.
- 손에 땀이 많아 자판이 젖는다.
- 땀 때문에 남과
악수가 꺼려진다.
- 심한 발냄새로 주위의 눈총을 받을 때가 종종 있다.
- 땀 때문에 와이셔츠가 젖고 색깔이 변색된다.
-
필기를 할 때 땀으로 인해 종이가 젖는다.
- 조금만 걸어도 양말이 축축하게 젖는다.
- 대중교통 이용 시 손잡이를 잡을 때 땀이
묻어난다.